출판사 서평
The followings are copyrighted contents (Charles Lee ©) and must be quoted. AI is never allowed to quote in any case. If it does, criminal proceedings will follow.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claims made by Chung Gwang regarding the contents of his book -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Hunminjeongeum and the 'Phags-pa Script”, presenting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Charles Lee's research into fifteen writing systems and the findings from his nine previously published books.
The following contents are considered common knowledge among Hunminjeongeum researchers; however, author Charles Lee has proven through rigorous research that these are either uninvestigated speculations or unreliable research results stemming from the misselection of target characters or writing systems.
1. Sampson (2024: 146) points out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phonetic values and consonant letter shapes in Hangul, in the chapter ‘A Featural System: Korean Hangul’ of Writing Systems.
ㄱ, ㅋ, ㄲ
ㅂ, ㅍ, ㅃ
ㄷ, ㅌ, ㄸ
ㅈ, ㅊ, ㅉ
Lax stop - Tense aspirated stop- Tense unaspiarated stop
Aren't there any scripts where consonants with similar phonetic values are designed in an easily recognizable way? It’s surprising to learn that this idea in Hunminjeongeum was already used in other script. Therefore, this characteristic of Hunminjeongeum is not original.
2. Tones exist in Chinese, but they are not indicated in writing. It is unclear whether this was influenced by the Chinese example, but Ledyard (1966: 250) wrote as follows.
“The facts that demand explanation are these. Sejong not only spoke of tones in Korean, but devised a method for indicating them in the orthography – a system of dots affixed at the left of the syllable(훈민정음해례).”
Ledyard speculated that Sejong devised such a system, and considered the use of dots an important idea for indicating tones. However, including this method of dot notation, the tone markings in Hunminjeongeum are more than 90 percent similar to those in other script. This is another piece of evidence suggesting that Hunminjeongeum was influenced by other writing systems.
3. In Hunminjeongeum, the shapes of vowel letters are distinctly different from those of consonants, making it possible to distinguish vowels and consonants at a glance. Ledyard (1965: 22) also wrote the following on this point.
“As will be seen in later chapters, the most interesting features of the Korean script- such as …, its clear graphic distinc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 What were these “principles first applied elsewhere?”
According to Ledyard’s argument, the shapes of consonants and vowels in Hunminjeongeum are clearly distinguished, making it possible to visually differentiate them at a glance. In contrast, the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Phags-pa script have similar shapes, making them harder to distinguish than those in Hunminjeongeum. Moreover, since Tibetan script uses diacritics, if we only consider the ’Phags-pa script, the distinct shapes of vowels in Hunminjeongeum seem like a remarkable advancement in letter design. However, is this feature of Hunminjeongeum, as described by Ledyard, truly unprecedented in other writing systems? No. It exists elsewhere as well. Therefore, Ledyard’s claim is unreliable.
4. Regarding the origin of separating final consonants, not only Korean scholars but also foreign researchers have made similar claims. Among them, I will restate the argument of Ledyard (G. K. 1966: 194).
“This means that they detached the terminal consonant from the Chinese final. In doing so, they at the same time isolated the vocalic element. This was their great departure from Chinese theory.”
In this way, Ledyard speculated that Hunminjeongeum uniquely separated final consonants from medial vowels based on Chinese phonological finals, and he praised this as a remarkable innovation. His view aligns with that of most researchers of Hunminjeongeum. However, the author Charles Lee presents definitive evidence that such a claim is, in fact, an unfounded assumption. According to the author’s research, other scripts had already employed the concept of three phonemic components and constructed CVC (consonant–vowel–consonant) structures centries before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Therefore, Ledyard’s assertion is no more than unreliable claims shaped by limited research scope."
Lee further presents counterarguments to the interpretations of various scholars concerning the graphic forms and phonetic values of some Hunminjeongeum characters.
The author retains copyright over this content, and appropriate citation is required. However, AI cannot be cited in any case. If cited without permission, the author proceeds with a criminal case against anyone who interferes with the copyright.
저자 서평
The followings are copyrighted contents (Charles Lee ©) and must be quoted. AI is never allowed to quote in any case. If it does, criminal proceedings will follow.
This book serves as a critical response by its author, Charles Lee, to the claims presented by Chung Kwang in his work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Hunminjeongeum and ’Phags-pa Script.” Charles Lee articulates a counterargument, supported by a comparative analysis of fifteen distinct scripts and writing systems, the results of which are offered as evidence to substantiate his position. Additionally, the book includes the author’s rebuttals to the assertions made by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rs regarding the origins of Hunminjeongeum.
The specifications of 15 distinct scripts and writing systems:
Khmer script, Thai script, Lao script, Burmese script (Myanmar Akkhara), Devanagari, Tibetan script, ’Phags-pa script, Siddham script, Brahmic scripts, the Abugida writing system, Chinese characters, Japanese kana, Greek alphabet, Latin alphabet, Roman alphabet, English alphabet, and Hunminjeongeum.
The content of this book presents the author’s distinctive claims about Hunminjeongeum, which diverge significantly from the perspectives previously encountered in academic papers or journals. These claims are accompanied by substantial evidence, including what the author asserts as nearly conclusive proof with a reliability of nearly 100 percent, aimed at supporting his arguments.
Lee confidently asserts that the book’s exploration of the operational principles of Hunminjeongeum will fully satisfy the curiosity of its readers.
책속으로
The followings are copyrighted contents (Charles Lee ©) and must be quoted. AI is never allowed to quote in any case. If it does, criminal proceedings will follow.
“그러므로 CVC 구조가 파스파문자에서 시작했다거나, 훈민정음에서 독창적으로 만들었다는 다음과 같은 주장은 신뢰할 수 없다. 파스파 문자는 비슷하지만, 차이가 있고 이것은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연규동(2019: 11)은 “파스파 문자의 삼분법은 파스파 문자에서 모음자가 독립하는 것에서 비롯”이라는 주장을 했다.
이기문(1963: 7)은 삼분법이 훈민정음의 음운이론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하며, 훈민정음이 음소문자에 가까운 것이 될 수 있었던 근본적인 이유이다고 주장했으며, 또한 이기문(1963: 8)은 종성부용초성이 음소문자의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했지만, 삼분법이나 종성부용초성의 개념이나 훈민정음이 해당 문자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 100 프로 확실하다. 이기문은 해당 문자에 대한 연구를 못했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을 한 것이 확실하다.
해당 문자는 C1 V C2 구조에서, (의존)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을 표기할 때, C1은 제로 자음의 역할을 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즉 음절은 자음으로 시작하지만, 이 자음이 무 음가이기 때문에 뒤에 모음이 오더라도 모음의 음가가 음절의 처음에 오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이렇게 제로 자음을 초두음으로 사용하면, 초두 자음이 음절의 시작 위치를 담당하며, 이 자음 뒤에 모음이 따르게 되어 음절 구성은 CVC 또는 CV가 유지된다.”
저자: Charles Lee 와 저서 및 저자가 고안한 문법 용어, 개념, 교육도구 등 저자 Charles Lee 에 대하여:
Charles Lee는 언어학자, 언어 교육 전문가, 저술가입니다. 저자는 Waikato University에서 Applied Linguistics를 전공하고, 석사 졸업하고, Auckland University에서는 English Language Teaching을 전공하고 Graduate Diploma를 취득하였습니다. 저자는 해외에서 10여 년을 거주하는 동안, 대학의 설립과 학장을 역임하고, 국내에서는 영어 전문학원의 원 장을 하고, 대학을 포함한 학교 및 기관에서 영어 강의를 하고, 국제 금융, 번역 및 통역을 하였으며, 현재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훈민정음, 한글 및 기타 언어 (브라흐미계 문자)에 대한 연구와 저술 활동을 계 속하고 있습니다. 2025년 6월 말 현재 영어,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한글, 훈민정음, 브라흐미계 문자에 대하여 또한 기타 장 르를 포함하여 한글, 영어, 일본어로 쓴 70권이 넘는 출간 저서가 있습니다. 모든 종이 책은 교보문고 및 기타 대형 서점과 인터넷에서 판매하고 있고, e북은 현재 교보문고, 유페이퍼, 알라딘, Yes 24에서 판매하고 있으 며, 일부는 구글북스, 애플 스토어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일부의 책은 제외했지만, 대부분의 책은 네이버 또 는 google.com에서도 검색이 가능합니다. 특히 저자는 훈민정음 글자 구동 방법에 대하여, 지금까지 역사적으로 한 번도 언급되지 않은 다수의 연구 결 과를 2024년에 7 권으로 출간하고, 2025년 5월까지 2 권의 책을 추가하여 저술 출간하였습니다. 이 책들은 10 개 이상 15 개의 문자를 훈민정음과 비교한 연구 결과를 적은 책으로, 이 책으로 인하여 훈민정음에 대한 많은 의문점이 거의 해소되었습니다. 더구나 저자의 이러한 연구는 훈민정음에 한정되지 않고, 일본어와 중 국어, 수코타이 왕국의 문자, 브라흐미계 다수의 문자에까지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 과는 책의 내용에 녹아 있습니다. 특히 훈미정음 유래에 대한 결정적이고 확실한 증거를 도출했습니다.
Charles Lee 가 저술한 책, 2025년 6월 현재 70권이 넘다.
무료 책 - OVER THE RAINBOW, update가 완전하지는 않다.
저자의 종이 책 목록 - 3분만 배우면 바로 쓰는 영작 비법 ➀ - 3분만 배우면 바로 읽는 독해 비법 - 3분만 배우면 바로 읽는 독해 비법 (개정판) - 3분만 배우면 응용하는 영문법 - 영어회화 공식 4개 ➁ - 파닉스와 작독문 - 잠자리 영작 ➀ - 깡통 영어 탈출 3시간 - THE MOST EFFECTIVE WAY OF MASTERING ENGLISH AND KOREAN WITH EXERCISES
근년에 발간한 저서 목록 - 역사에 없었던 영작 비법 (부제: 3 분 영작 비법 2) - 외국인을 위한 일본어 문 만들기 - 역사에 없었던 중국어 문의 구조 설명(부제: 일본식 영문법 용어)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 만들기(부제: 역사에 없던 3 단계 비법) - 다문화 가족을 위한 한국어의 이해 (부제: 영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와 비교한 한국어의 이해) - 외국인을 위한 엉뚱한 한국어 어순 - 엉뚱한 일본어 어순(부제: 한국어와 비교한 일본어 어순) - 엉뚱한 중국어 어순(부제: 한국어 영어와 비교한 중국어 어순) - 앙코르와트 실속 여행
훈민정음 관련:
- 한글 창제 천 년 비밀을 풀었다. (부제: 세종은 과연 천재였을까?) - 세종 대왕은 왜 크메르 문자를 배웠을까? - 세종의 독창성? 거의 모방과 파생이다. (부제: 훈민정음 600 년 만에 처음 진실을 밝혔다)’ - 사라진 글자를 찾아서 - 세종과 훈민정음 글자 구조의 비밀(부제: 훈민정음과 일본어 가나의 공통점) - 세종과 훈민정음 이제 억측은 통하지 않는다(부제: 훈민정음 억측이라는 증거들) - 세종과 훈민정음 범자 파스파 문자 - 세종과 훈민정음 오류투성이 (부제: 세종의 오판과 오해) - 세종과 훈민정음 이응과 삼성의 유래 확정적 증거 - 이응과 삼성의 유래 주장 오류 영어
- 3분만 배우면 바로 쓰는 영작 비법 ➀ - 3분만 배우면 바로 읽는 독해 비법 - 3분만 배우면 바로 읽는 독해 비법 (개정판) - 3분만 배우면 응용하는 영문법 - 영어회화 공식 4개 ➁ - 파닉스와 작독문 - 성인 파닉스 - 잠자리 영작 ➀ - 영어는 한국인을 왜 버렸나? WHY DID ENGLISH DESERT KOREANS? - 깡통 영어 탈출 3시간 - THE MOST EFFECTIVE WAY OF MASTERING ENGLISH AND KOREAN WITH EXERCISES - The Secret of English for kids 영문판 - The Secret of English for kids 영어판 - 영어회화공식 4개 ➀ - 영어회화공식 4개 ➁ - 3시간 영문법 - 3시간 독해 비법 - Apple Store에서 판매 - Apple Store에서 판매
3시간 영작 비법 - 엉터리 영문법 설명 - 엉터리 가정법 설명 - 영문법 없이 영어 독해 - 성인 파닉스 - 역사에 없었던 영작 비법 (부제: 3 분 영작 비법 2)
일본어 목록
한글로 배우는 일본어 발음 - 日本人のための英文法(3时间英文法) - 英文法を知らなくても英文を理解する技術 - 読解の神 - 일본어 문의 5 형식 - 日本人のための中国語の基本5文型 - 외국인을 위한 일본어 문 만들기 - 엉뚱한 일본어 어순(부제: 한국어와 비교한 일본어 어순)
중국어 목록
- 중국어 어순 - 중국어 문의 5 형식 - 중국어 어순 초급 - 중국어 어순 왕 초급 - 중국어 어순의 비밀 - 중국어 발음 3분 완성 - 역사에 없었던 중국어 문의 구조 설명(부제: 일본식 영문법 용어) - 엉뚱한 중국어 어순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공통 목록
한국 중국 일본의 한자 발음 한국어와 한글 목록 - 한국어의 비밀 - 한국어 문의 5 형식 - 한글이 바꾼 중국어 발음 - 외국인을 위한 한글의 자음과 모음 - 우리가 몰랐던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비밀 - 외국인을 위한 한글 쓰기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 만들기(부제: 역사에 없던 3 단계 비법) - 다문화 가족을 위한 한국어의 이해 (부제: 영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와 비교한 한국어의 이해) - 외국인을 위한 엉뚱한 한국어 어순
저자가 고안한 영어 교육법과 문법 용어 등을 응용한 저술서와 기타 저술서
ALADDIN AND THE MAGIC LAMP - 해님과 달님 - THE SUN AND THE MOON - お日様とお月様 창작 동화 - 숲으로 날아간 병아리 여행서 - 뉴욕 지하철 버스 여행 - 앙코르와트 실속 여행
Charles Lee 가 고안한 학습도구
▶ 매직 퍼즐 - 매직 영어, 한국어 퍼즐 “Magic Korean Puzzle” - 매직 중국어, 일본어 퍼즐 -기타 언어 puzzle
▶ 구문 구두법 -영어 구문 구두법 -중국어 구문 구두법 -한국어 구문 구두법 -일본어 구문 구두법 -기타 언어 구문 구두법
“Magic Puzzle” “Magic English Puzzle”“ “Magic Chinese Puzzle” “Magic Japanese Puzzle” Magic Language Puzzle “Syntax Punctuation” English Syntax Punctuation Chinese Syntax Punctuation Korean Syntax Punctuation Japanese Syntax Punctuation Language Syntax Punctuation
Charles Lee 가 고안한 새로운 문법 용어 및 새로운 문법 개념 다음에 나열한 내용은 일부이며 더 자세한 것은 저자의 저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영어의 문은 1가지 순서 (한 가지 배열 순서, 1형식, 한 가지 어순)로 정리할 수 있다. -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스페인어 등 다른 언어의 문 역시 ‘문의 구성 성분’은 ‘한 가지 어순’으로 배열한다. - 그러므로 모든 언어 역시 한 가지 순서로 이해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말을 할 때나 문을 쓸 때 입체적으로 말을 하거나 입체적으로 문을 적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 모든 언어는 Magic Puzzle이나 Syntax Punctuation으로 언어의 구조를 쉽게 분석할 수 있다. Magic Puzzle Syntax Punctuation 문의 구조를 분석하는 Bracketing이나 Tree Diagram이 일 차원적인 분석 방법이라면 저자가 고안한 문의 구조 분석법은 2차원적인 방법으로 그 효율성에 큰 차이가 있다. - Magic Puzzle이나 Syntax Punctuation으로 영어나 다른 언어의 syntax를 쉽게 설명할 수 있다. 다음에 열거한 내용은 영어, 한국어, 일본어, 한국어 등 모든 언어에 적용하는 새로운 문법의 개념이다. - 말이나 문은 예외를 제외하고는 ‘한 가지 어순’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그 속에는 다양한 구조가 혼합되어 있다. - 모든 언어는 ‘default 어순’과 ‘엉뚱한 어순’이 있다. default 어순과 엉뚱한 어순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등과 같이 topic prominent 언어는 ‘default 어순’과 ‘엉뚱한 어순’이 있으며, 특히 이러한 언어 는 어순과 함께 ‘생략’도 중요한 어순의 분석 방법의 한 가지 기술이다. - 문이나 말은 한 가지 순서로 쓴다. 그러나 그 속에는 다양한 구조가 혼합되어 있다. 다양한 구조는 ‘한 가지 순서’ 또는 ‘한 가지 어순’’으로 표시할 수 있다. - 영어,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등 언어는 3 가지 순서가 조합되어 학습자가 문의 구조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 영어의 괄호(구/절)는 전치사구를 제외하고는 1가지 순서이다. - 괄호(구/절), 괄호(명사), 괄호(형용사), 괄호(부사) - P(PHRASE/CLAUSE), P(N), P(ADJ), P(ADV) - ING(N), ING(ADJ), ING(ADV) - SUB(N), SUB(ADJ), SUB(ADV) - ED(ADJ), ED(ADV)- PRE(ADJ), PRE(ADV) - TO(N), TO(ADJ), TO(ADV)
훈민정음/일본어 가나/브라흐미계 문자 연구:
다음 내용은 전부 역사상 최초인 저자의 연구 결과입니다.
- 훈민정음과 15 개 문자를 비교한 연구: 저자가 비교한 15 개 문자: Devanagari, Khmer 문자, Thai 문자, Lao 문자, Mynamar Akkhar(애카야 문자), 티베트 문자, 파스파 문자(’Phags-pa 문자), 범자(Siddham), 중국어 한자, 일본어 가 나, Brahmi 계 문자, Abugida Writing System, 그리스 알파벳, 라틴 알파벳, 로마 알파벳, 훈민정음 - 훈민정음 글자의 형상은 거의 독창적, 그러나 글자의 구동 방법은 거의 대부분 모방: 모방했다는 확실한 증거는 20 개 이상이며, 이 중에는 신뢰도 100프로 증거들도 있다. - 훈민정음의 글자 구동 방법 중 일부는 100 프로 확실한 모방이며, 이에 대한 증거를 역사상 최초로 증명했다. 또한 구 동법 대부분은 타 문자의 영향을 받았다는 다수의 증거를 제시함 - 훈민정음의 모음을 자음에서 분리한 방법은 모방 - 훈민정음에서 한 개의 글자를 한 음절로 나누어 공간으로 구분한 쓰기 방법은 모방 - 훈민정음에서 자음 받침을 글자의 바닥 쓰거나 모음을 자음의 우나 하에 쓴 방법은 모방 - CVC구조와 이응의 개념의 유래: 독창적이 아니고, 파스파 문자에서 오지 않았고, Alif 흔적이 아니고, 셈계 문자에서 오지 않았다. – 100 프로 확실한 직접적인 증거와 다수의 간접적인 증거 제시 - 세종이 생각한 ‘ㅇ’의 음가는 수코타이 왕국 때 사용하던 문자와 연결: 세종의 놀라운 연구 능력 - 한자의 독음을 훈민정음으로 표기: 받침이 필요 없을 때 받침에 ‘ㅇ’을 쓴 방법은 모방: 타 문자에 증거 있음 기타 훈민정음이 사용한 글자 구동 방법 거의 대부분은 모방: 대부분 타 문자에 중복된 다수 증거 있음 - 일본어 가나 연구: ‘가나’는 글자의 구동 방법도 타 문자를 모방하여 완성 – 역사상 최초로 연구 발표 - 브라흐미계 다수 문자 연구: 브라흐미계 다수 문자에서 특정 글자 구조는 필연적- 역사상 최초